(내겐 명작) 밴드 오브 브라더스 (Band of brothers) 5화 2001
5. Crossroads 교차로
배경 : 1944년 10/17 슌 데르고 그 트(Schoonderlogt Holland) 네덜란드이다.
윈터스의 회상 장면으로 1944년 10/4-5일의 전투 장면이 그려진다.
→ 1944년 10/31 Driel, Holland → 1944년 12/10, Mourmelon-le-Grand, France
→ 1944년 12/18 바스토뉴, 벨기에
영국의 마켓 가든 작전은 대실패로 끝이 났다.
레드 데블스는 2천 명이 살아 돌아오고, 8천여 명이 전사한다.
'페가수스 작전'은 아른헴에 강하했다가,
고립된 영국군 공수부대를 구조하기 위한 작전이다.
페가수스 작전은 도비 중령이 주도한다.
네덜란드 저항군들이 영국 대원 140명을 강 건너, 독일군 마을 근처에 숨겨주고 있다.
이지중대에서 구조팀을 선발하여, 강을 건너서 구조해 오는 임무를 수행한다.
캐나다 공병대가 보트 6척을 지원한다.
무스 하이리거 중위는 페가수스 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한다.
실제로 안헴에 고립되었던 연합군의 일부는,
네덜란드 저항군의 도움으로 조금씩 구출되었다.
영국군은 독일군을 은어로 요강 통이라는 뜻의 '제리'라고 부른다.
미군은 독일군을 독일의 '양배추' 절임인 크라우츠라고 부른다.
윈터스의 리더십
1944년 10/4-5일
네덜란드 아른헴에서 남서쪽으로 약 11Km 떨어진 랜드 위크(Randwijk) 근처.
랜드 위크 지역을 정찰하던 중에, 독일군이 기관총을 설치하는 것을 보게 된다.
독일군의 모습에 리브갓은 이지 중대원으로 착각해서 소리쳤고,
정찰대원 한 명이 독일군 수류탄 공격으로 부상을 당하는 장면으로 시작하는 회상씬!
윈터스의 회상으로 보이는 1944년 10/4-5일의 전투 장면은 윈터스의 지휘력을 보여준다.
ㅇ2개 소대로 2개 중대를 소탕한다.
일명 '히틀러의 전기톱'으로 불리는 독일군의 MG42를 보고 나서,
전투원 각자 각자에 임무를 부여하고 공격을 지시한다.
후퇴 저지선을 만들고, 박격포를 놓고, 돌진해서 치고 빠지고,
결국 개활지에 빠진 상황에 이르게 된다. 전멸 상황이다.
아른헴 다리의 남쪽과 가까운 개활지는 보통 습지로 간주되는데,
실제로 착검을 지시하고 돌격할 때 땅이 질펀하고 말랑했다고 한다.
윈터스가 대단한 지휘관이라는 것은 항상 옳은 판단을 내리며,
즉석에서 전략을 짜고 실행하는 능력이 탁월하다는 것이다.
윈터스는 공격을 지시한다.
윈터스 이하 병사들도 베테랑임을 보여주는 전투씬!
모든 전시상황 가운데,
윈터스는 이 날의 전투에서 이지 중대원들에게 "최고의 활약상"을 수여했다. ㅎㅎ
ㅇ리더는 앞장서야 한다.
ㅇ리더는 부하들을 이해해야 한다. 그들이 요구하는 바와 생각하는 바를 공감해야 한다.
ㅇ항상 옳은 판단으로 이끌어야 한다.
탈버트와 윈터스는 독일군이 아무도 없는 곳을 향해, MG45를 쏘는 것에 의문을 가졌다.
그 해답은 10/5일 새벽 윈터스가 친위대 2개 중대를 공격하는 시간에
국민척함병사단이 오페 우스텐(Opheensden, holland)을 공격하여 3대대가 곤혹을 치렀다.
독일군이 2대대 지휘소를 칠 때, 호튼 소령이 방어병력을 지휘하다가 전사했다.
1944년 10/31 Driel, Holland
2대대 부대대장인 호튼 소령이 전사함에 따라, 위터스는 2대대 부대대장으로 임명된다.
윈터스의 후임으로는 이지중대 중대장으로 무스 하일 리거가 온다.
무스는 성실하며 책임감이 강한 능력 있는 지휘관이다.
페가수스 작전을 성공리에 수행했다.
불행히도, 초병의 총에 3발을 맞는 사고가 일어난다.
그 초병은 신병이었고, 윈터스는 처벌 대신
병사들에게 맞아 죽을 것을 생각하여 바로 전출 보냈다고 한다.
아파하는 무스에게 해리(장교)가 모르핀을 2-3대 놓는다.
그리스 신화 '꿈의 신' 모르페우스(Morpheus)의 이름에서 유래된 모르핀(Morphine).
신화처럼, 무스는 꿈나라로 갈 뻔한다.
윈터스는 무스의 낯빛을 보면서, 그의 생사를 걱정했다고 한다.
무스는 총상 후, 한 달 뒤에 대위로 진급한다.
윈터스에게 안부 편지를 보낼 만큼 회복되었다.
회복 후에는 미 본토의 이지중대로 복귀한다.
의무병 유진은 장교들에게 크게 호통친다.
이런 일이 가능한 이유는 무엇일까?
→ 기술상병 (T) 마크가 붙은 계급은 지위고하를 가리지 않고,
그 분야에 있어서는 아무도 통제권을 발휘할 수 없다고 한다.
1994년 12/10일, Mourmelon-le-Grand(모우 멜론), France
윈터스의 파리 휴가 장면은,
그가 최고의 지휘관임에도 불구하고, 전쟁의 비극적 상황에서 그의 인간적인 고뇌를 보여준다.
프랑스의 모우 멜론(Mourmelon-le-Grand, France) 캠프이다.
101 공수사단의 육군기지로 사용 중이다.
마켓 가든전투의 상처를 회복하고, 재충전을 한다.
다가올 전투를 대비해서 새로운 보충병을 맞고, 훈련시킨다.
영화는 Mariene Dictrich, John Wayne 주연의 Seven Sinners, 1940
영화를 보는 동안, 윈터스의 물음에 넋이 나간 듯한 벅을 볼 수 있는데
마켓가든 작전에서 부상을 당한 후, 치료를 하고 복귀를 했다.
야전병원에서 겪게 된 생사의 긴박함과 끔찍함에 힘들어했고,
그 후로는 예전의 '벅'의 모습은 볼 수 었었다고 한다.
벌지 전투(Battle of the Bulge) = 아르덴 공세(Ardennes Offensive)
= 바스토뉴 공방전(Bastogne)
1994년, 독일군은 승리가 확실시되는 연합군을 압박한다.
동쪽으로 진격하던 연합군의 고민은 보급이다.
마켓 가든 작전의 실패로 보급 루트를 확보하기 위해 진격을 잠시 멈춘다.
이에 독일군은 양쪽 합쳐 10만 명이 넘는 사상자를 낸 '벌지 전투'를 벌인다.
아르덴 지방은 깊은 산림과 산악지대이기 때문에,
독일의 기갑부대가 쉽사리 통과할 수 없다고 생각한 연합군은,
그들도 기갑부대의 지원을 전혀 받지 못하는 보병부대를 배치한다.
연합군은 신참 보병사단이었기 때문에 전투 경험이 없었다.
결국, 독일군에 항복하거나, 전멸당한다.
벌지 전투로 인해, 연합군은 포로만 4만이 잡힌다.
이런 이유로 후퇴를 한 후에, 재정비를 도모하자는 이견도 있었다.
그러나, 아이젠하워는 101 공수사단을 바스토뉴로, 82 공수사단을 생비트로 급파한다.
1944년 12/17 - 18일
레드볼 익스프레스(Redball Express), 흑인 운전병으로 구성된 수송부대이다.
이 날 하루에만 1만 대의 차량으로, 6만 명의 병력과 각종 장비를 수송했다.
제101 공수사단도 이 트럭을 타고 이동한다.
1944년 12/18일, 벨기에의 바스토뉴.
도로 7개가 통과하는 전략적 요충지다.
독일 전차들도 바스토뉴를 거쳐야만 계속 전진할 수 있다.
윈터스의 2대대는 숲이 우거진 동쪽을 방어해야 한다.
이지중대는 포이 남쪽의 바스토뉴에서 노빌까지의 도로를 방어하고 있다.
노빌은 바스토뉴에서 북쪽으로 3마일 떨어진 평평한 농경지로 둘러싸인 곳이다.
남쪽으로 1마일 떨어진 곳에는 (바스토뉴를 둘러싼 숲 가장자리에) 포이 마을이 있다.
동계 피복도 부족하고, 탄약과 음식도 부족한 채로 전투에 참가해야 한다.
넋이 나간 듯이 후퇴하는 연합군 가운데서도,
자신의 의무와 맡은 바 책임을 다 하는 사람은 있다.
바로 제10 기갑 사단의 '조지 라이스 소위'이다.
그는 101 공수부대를 위해,
독일군의 병력과 현재 상황을 알려주고, 부족하기만 했던 탄약도 전해준다.
그는 지미 팰런이었어.
내겐 특급 명작♥
'타인의 삶 ♡ 영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겐 명작) 밴드 오브 브라더스 (Band of brothers) 7화 2001 (0) | 2020.12.12 |
---|---|
(내겐 명작) 밴드 오브 브라더스 (Band of brothers) 6화 2001 (0) | 2020.12.12 |
(내겐 명작) 밴드 오브 브라더스 (Band of brothers) 4화 2001 (0) | 2020.12.12 |
(내겐 명작) 밴드 오브 브라더스 (Band of brothers) 3화 2001 (0) | 2020.12.12 |
(내겐 명작) 밴드 오브 브라더스 (Band of brothers) 2화 2001 (0) | 2020.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