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구석 1열) 밀정(2016) vs 암살(2015)
방구석 1열 5화 2018년 6/1일
일제강점기 나라를 위해 몸 바친 독립투사를 다룬 두 영화
6월 호국보훈의 달
우리가 기억해야할 역사
대한독립을 위해 몸바친 순국열사들
당신이 몰랐던 숨은 독립투사들의 이야기
<밀정>과 <암살>
밀정 2016
감독 : 김지운
배우 : 송강호 엄태구
전지현 공유
시대적 배경 : 1920년대 일제강점기
송강호 X 공유 적인가, 동지인가?
조국을 위해 이중첩자가 되다 <밀정>
변영주
<밀정>은 독립군을 다룬 영화라기보다는 #콜드 누아르를 표방하여
더 차갑고 어두운 푸른 톤의 미장센을 추구하면서 고급스러움은 UP!
송강호와 이병헌의 대화하는 장면 역시 굉장히 독특한 구도와 조명을 사용합니다.
표현에 집중하면 형식적이기 쉬운데 명백한 캐릭터들이 내용까지 채워줍니다.
최태성
#영화 속 송강호의 실제 사건
황옥 경부 폭탄 사건. 1923년
<밀정>에서 송강호는 황옥 경부(파출소장급)를 맡습니다.
황옥 경부가 의열단에 가입해서 국내로 폭탄을 반입하는데 도움을 주는데 역할을 합니다.
황옥은 의열단의 밀정으로 활동했는가?
<밀정>에서처럼 황옥은 재판에서 의열단원임을 부정하는데요.
''파출소장에서 경찰서장으로 승진시켜 준다고 해서
일본 경찰의 지시를 받고 의열단에 밀정으로 잠입한 것이다.''
실제로 눈물을 흘리며 얘기를 합니다.
황옥의 말에 함께 잡혀 온 재판장의 의열단원들은 분노합니다.
결국 징역 10년을 받는데 6년 만에 가석방됩니다.
나중에 의열단장 김원봉이 이런 이야기를 합니다.
"황옥은 의열단이 맞다."
아직도 미스터리인 황옥의 실체인데요.
<밀정>에서는 황옥을 의열단원으로 해석하지만
사건 이후에도 황옥이 의열단원들과 접촉을 많이 합니다.
황옥의 정체는 아직도 의견이 대립되고 있습니다.
Q. 의열단이 어떤 단체인가?
의(義) : 정의를 위해(일제로부터의 독립을 위해)
열(烈) : 열렬히 싸우기 위해 뭉친
단(團) : 단체
1919년에 조직되어
1920년대 초반에 집중적으로 활동한 무장 투쟁의 최전선에 있었던 독립운동 단체입니다.
의열단이 활동했던 1920년대의 배경은
1910년대는 식민 지배가 시작됐으니까 찍어 누르는 시기입니다.
# 1910-1919 무단 통치기 : 일제의 폭압적 통치입니다.
일제가 통치 스타일을 바꾸는 계기가 3◦1 운동입니다.
# 1919년 3월 1일부터 전국적으로 수개월간 전개되는데요.
일제가 놀란 겁니다. 찍어 눌러서는 안 되겠구나. 생각한 것입니다.
1920년대 문화 통치기 : 약간의 자유를 허용합니다.
사실은 교묘하게 친일파를 길러 우리 민족을 분열시키려 한 시기입니다.
# 1920년대 문화 통치기 속에서 의열단의 투쟁이 전개됩니다.
Q. 실제 사건일 거라고 생각해본 적 있는가?
최태성
<밀정> 속 김장옥은 실제 독립운동가인 김상옥입니다.
김상옥은 조선 최고의 총잡이입니다.
1923년 1월 12일, 종로 경찰서에 폭탄이 터집니다.
독립운동가들을 엄청나게 잡아들인 일본의 심장부와 같은 곳에
김상옥이 폭탄을 터뜨립니다.
5일 뒤인, 1월 17일
김상옥의 은신처를 일본 경찰들 20여 명이 포위합니다.
김상옥은 포위망을 뚫고 맨발로 눈밭 위를 달려 나갑니다. 총을 쏘면서.
이때 동상에 걸립니다. 결국 발가락 하나를 잃게 됩니다.
일본 경찰 20명으로는 김상옥을 잡을 수 없자, 1000명이 투입됩니다.
권총 두 자루로 3시간 반의 총격전을 벌인 끝에 총알은 다 떨어지죠.
마지막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장렬히 생을 마감합니다.
암살 2015
감독 : 최동훈
배우 : 전지현 조승우
이정재 하정우
시대적 배경 : 1930년대 일제강점기
전지현 X 이정재 그들의 임무는 달랐다
여성 독립투사의 친일파 척결 작전 <암살>
최태성
1910-1920년대는 일본 경제 호황기.
이후 1930년대에 자본주의 전성기를 맞이하는데요.
1930년대 일본 경제는 쇠락의 조짐이 보이는 상황입니다.
1930년 현재 신세계 백화점의 효시인 우리나라 최초 미쓰코시 백화점이 개업합니다.
백화점은 자본주의의 상징이죠.
특히 휘황찬란한 조명은 조선인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줍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이 시기에 조선인 중에 변절자들이 많아지게 됩니다.
한편, 세계 경제공황으로 잘 나가던 일본의 자본주의가 꺾이는 시점에서
일본 내부에는 군국주의 체제가 등장합니다.
경제 위기의 해결책으로 전쟁을 일으키게 되는 것입니다.
1931년 만주사변
1937년 중일전쟁
1941년 태평양전쟁
끊임없이 전쟁을 벌이는 과정 속에서 조선인들이 가장 큰 희생양이 됩니다.
조선인을 전쟁에 동원하기 위해 황국 신민화를 표방하는
1930년대는 민족 말살 통치기가 시작됩니다. (1938-1945)
1930년대는 변절자와 희생자가 뒤섞여 비참하게 살아가게 됩니다.
Q. 안옥윤은 실존 인물인가?
《남자현 의사》
안동에서 효부상을 받은 분입니다.
1895년 남편은 을미의병으로 활동을 하시다 돌아가십니다.
남편을 위해 일제에 복수하기 위해서 3◦1 운동 이후 만주로 가서 독립군들을 지원합니다.
남자현 의사는 여자 안중근으로 불려지는 인물입니다.
손가락을 3개를 절단하시는데요.
1. 식민지가 됐다는 것을 잊지 맙시다. 결의할 때 하나.
2. 조선인들끼리 싸우면 안 됩니다. 호소할 때 하나.
3. 조선은 독립을 원합니다. 세계에 알릴 때 하나.
혈서에 담긴 강인한 독립정신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실제로 <밀정>의 안옥윤처럼 권총을 들고 1926년 3대 조선총독의 암살을 계획합니다.
삼엄한 경계로 인해 암살은 실패하는데요.
1933년 만주국 전권대사의 암살 계획을 세웁니다.
당시 61세입니다.
그러나 1926년부터 일본이 눈독을 들이고 있었기 때문에 일본 경찰에게 체포됩니다.
<밀정>의 배경이 1933년이잖아요.
1933년 고령과 고문으로 인해 순국하시게 됩니다.
순국 당시 아들에게 남긴 유언이
"내가 남긴 재산을 독립 축하금으로 써달라."라고 말씀하십니다.
민족의 암흑기, 가장 변절자가 많은 절망적인 1930년대에 독립에 대한 확신을 가지신 것입니다.
평생을 바쳐 항일했던 남자현 의사이십니다.
Q. 신흥 무관학교의 정체는?
신흥 무관학교는 귀감이 되는 재벌들이 세운 것입니다.
그때 모은 돈이 현재 시가로 약 600억이 되는데요.
전부 독립운동 자금으로 운용이 됩니다.
신흥 무관학교는 우리나라 항일 독립운동사에 큰 획을 그은 학교입니다.
① 의열단 단원 13명 중 8명을 배출
②봉오동 전투, 청산리 전투의 주축
<밀정>과 <암살>의 꿀잼고리
#김원봉
항일 독립투쟁의 양대 축은 한일 애국단의 김구.
의열단의 김원봉.
일제가 가장 두려워하던 독립투사가 김원봉입니다.
왜?
지붕과 지붕 사이를 뛰어다니며 1천 명의 일본 경찰과 총격전을 벌인 김상옥 의사
조선총독부에 폭탄을 던지고 상하이에서 유유히 빠져나가던 일본 대장을 쏴 죽인 김익상 의사
일본 왕이 사는 궁성에 폭탄을 던진 김지섭 의사
동양척식 주식회사에 폭탄을 던진 나석주 의사
이 인물들의 의열단 단장이 김원봉입니다.
일제가 내건 현상금이 현재 기준 김구 290억
김원봉 320억
Q. 김원봉을 역사 교육에 다루지 않았던 이유?
독립운동의 핵심인물인 김원봉!
친일 악질 경찰의 대표적인 인물이 노덕술입니다.
광복 이후 김원봉은 노덕술에 의해 체포됩니다.
서로 다른 이념 싸움에 목숨의 위협을 느끼던 김원봉은
결국엔 월북을 택해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했던 것입니다.
김원봉이 독립 유공자가 될 수 없는 이유는
국가보훈처 내부규정에
북한 정권 수립에 기여한 자는 독립유공자에서 제외한다는 조항이 있습니다.
'타인의 삶 ♡ 영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구석 1열) 살인의 추억 (2003) vs 추격자(2008) (0) | 2021.01.27 |
---|---|
(방구석 1열)태극기 휘날리며 vs 웰컴 투 동막골 (0) | 2021.01.27 |
(방구석 1열) 베테랑(2015) vs 군도 : 민란의 시대(2014) (0) | 2021.01.26 |
(방구석 1열) 1987(2017) vs 택시 운전사(2017) (0) | 2021.01.26 |
(방구석 1열 )더 킹 (2017) vs 내부자들(2015) (0) | 2021.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