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타인의 삶 ♡ 영화이야기

(내겐 명작)부산행 (Train to Busan)2016

728x90
반응형

(내겐 명작) 부산행 (Train to Busan) 2016

 

<부산행>은 한국 최초 좀비 블록버스터로 정체불명의 바이러스가 확산되는 가운데 부산행 열차에서 벌어지는 극한의 사투를 담은 영화인데요. 

예상치 못한 재난에 직면한 사람들이 어떤 태도로 죽음의 위기를 극복해 나가는지를 현장감 있게 보여준 <부산행>

 

일하느라 너무 바쁜 아빠, 이기적인 일부 계층의 사람들... 실제로 있을 법한 한국의 군상을 주연으로, 좀비가 판타지가 아닌 SARS, MERS 사태를 거치면서 한국인들에게는 생소하지 않은 바이러스 같은 걸로 받아들일 수 있었던 것 같아요. 

 

또 감독은 어색하지 않은 한국산 좀비를 만들기 위해 특수 랜즈와 핏줄 정도만 그리는 것으로 분장을 최소화하고 박재인 안무가와 함께 공포감을 극대화하는 움직임을 고안했다고 해요. Born Breaking 무용가들이 참여함으로써 더욱 실감 나는 좀비를 연출할 수 있었다고 하네요. 

 

연상호 감독은 평소에 루저나 사회적 약자에도 관심이 많았고 루저 같은 좀비를 사람들이 무서워하는 것에 착안하여 약자들의 반란을 꿈꿨다고 하는데요. 

한국 좀비 영화의 새 지평을 연 <부산행>은 1,156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면서 천만 영화 반열에 올라섭니다. 

 

이른 새벽, 부산행 열차를 타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서울역에 모입니다. 

석우는 바쁜 시간을 쪼개 별거 중인 아내에게 딸 수안을 데려다 주기 위해 수안과 함께 부산행 열차에 오릅니다.

열차 출발 바로 전, 삐그덕 삐그덕 부자연스러운 몸짓의 여자가 기차에 오르고 지옥행 열차가 출발하는데요. 

 

기차 안 화장실로 향한 석우의 딸, 수안은 화장실 앞에서 임신한 아내를 기다리던 마블리, 상화와 마주칩니다. 

깜빡 든 잠에서 깬 석우는 수안의 빈자리를 보게 되고 주변을 두리번거리던 중, TV 뉴스를 통해 대규모 폭동 시위가 일어났다는 것을 알게 되죠. 

 

잠시 후 두 눈을 의심하게 하는 광경이 벌어지는데요. 

열차 바닥에 엎드려 심한 경련을 일으키던 여자가 벌떡 일어나 승무원의 등에 올라타더니 급기야 승무원을 짐승처럼 물어뜯고 있습니다. 

물리는 그 순간, 온몸은 흉측하게 변해버리고 또 다른 사람을 물게 되는 끔찍한 광경이 연출되고 맙니다.  

물고 물리는 방법으로 바이러스는 기차 안에 있는 사람들을 감염시키고 있는데요.

 

그런 상황을 알지 못하는 석우는 딸을 찾기 위해 열차 안을 돌아다니다, 얼른 도망가라는 한 승객의 경고 덕분에 열차 내에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음을 알게 되죠. 

감염자들의 눈에 새 먹잇감이 되기 일보 직전에 석우는 딸 수안을 발견하고 딸을 번쩍 안아 들고 그들을 피해 열차 통로를 전력 질주합니다. 

석우... 참 멋있네요. 기럭지하며 비율이... 좀비만큼이나 비현실적이군요. 

 

생사를 오가는 추격전 끝에 석우와 수안은 안전한 객실에 들어서고 감염자들의 침입을 막기 위해 문을 닫으려는데 상화와 그의 임신한 아내가 뛰어오고 있습니다. 

잠시 갈등하던 석우는 미련 없이 객실 문을 닫아 버립니다. 나쁜 X, 이기적인 인간이었어. 

상화는 우람한 팔뚝을 휘휘 휘저으며 감염자들로부터 아내를 지켜냈고 안전한 객실 안으로 들어올 수 있었습니다. 

아수라장 같던 순간은 지나갔지만 상화와 석우의 앙금은 쉬이 가라앉지 않습니다. 

 

한편 열차 밖의 상황도 열차 안과 크게 다르지 않는데요. 

기하급수적으로 확진된 감염자들이 도시를 잠식해 나가고 있었기 때문이죠. 

 

그때, 우리 열차는 대전 역까지만 운행한다는 사실을 알려드립니다. 열차 안에선 안내방송이 나오는데요.

정부에서는 사태 진압을 위해 군 병력을 대전역에 배치했고... 역시 우리나라에선 사건, 사고가 터지면 가장 먼저 군인을 투입하죠. Thank You For Your Service.

열차 안 승객들이 메인 광장으로 나가던 그때 석우는 한 통의 전화를 받죠. 메인 광장 쪽으로 나가지 말고 동광 쪽으로 나오세요. 

안전한 길을 제보받은 석우는 사람들에게 알리지 않고  딸만 데리고 다른 길로 빠져나가는데요. 

아빠는 자기밖에 몰라. 

 

꺼이꺼이 끄으크~ 이미 숱한 군 병력마저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였습니다.

메인 광장으로 나오던 승객들을 본 부대 감염자들은 괴상한 소리를 내며 떼로 덮쳐오기 시작합니다. 

 

딸과 몰래 도망치려던 석우는 감염자들에 의해 발각되었고 사람들의 도움으로 겨우 목숨을 건지는데요. 

자신과 딸의 안전만이 중요했던 석우는 타인의 도움으로 위기를 벗어나고 그제야 자기만 살겠다는 이기심을 내려놓고 타인을 돕기 위해 행동합니다. 그리고 이 재난을 극복하는 최선의 방법은 협력하는 것임을 깨닫게 됩니다. 

가장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른 법이죠. 이제라도 정신 차려서 다행입니다. 

 

연약하기 그지없는 유리막 하나로 부대 병력을 막아내기란 역부족입니다. 

잠시 도망칠 시간은 벌었지만 이내 유리문은 힘없이 부서져 내리고 감염자들은 쏟아져 들어옵니다.

 

그 사이 열차 안으로 피신한 사람들 중에도 역시나 사람이길 포기한 인물이 있었으니... 본인의 생존을 위해서라면 타인의 목숨까지 방패로 삼는 나쁜 X.

그 X는 열차 내 사람들을 선동해 필사적으로 감염자들로부터 안전을 확보해 준 석우 일행을 격리시켜 버리죠. 악마는 먼 곳에 있지 않습니다. 

 

석우는 후배로부터 자신들이 주가를 조작해 살려낸 회사가 이 바이러스의 시발점이란 사실을 듣게 됩니다. 

 

영화는 익숙한 현실에서 직면하는 재앙들이 개인과 무리가 탐욕과 이기심에 눈 뜰 때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 보여줍니다. 

 

감독은 종말에 대한 주제를 통해, 다음 세대에게 무엇을 물려줄 것인가를 고민했다고 하는데요. 

석우가 딸 수안에게 했던 것처럼,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노래할 수 있는 용기를 전해주고 싶었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